경영평가단 구성(1~2월경) → 기관 경영실적보고서 제출(3월경) → 서류·현장평가(3~5월경) → 이의신청(6~7월경) → 지방공기업정책위원회 심의 및 결과발표(7~8월경)
평가 대상
지방공사·공단, 지방직영기업(상·하수도, 상수도는 격년제)
(평가제외) : 신설 지방공기업으로 경영실적이 없는 지방공기업, 상·하수도를 제외한 직영기업(공영개발 등) 등
평가 방향
경영관리(공공성)와 경영성과(효율성)간 평가비중* 균등화 등 공공성·효율성간 균형 실현과 동시에 경영효율성 평가**를 고도화하여, 지방공기업의 건전한 경영 및 서비스의 질 제고 유도
*▴(경영관리) 63 → 50점(13↓), ▴(경영성과) 37 → 50점(13↑)
** 예) 직무중심 인사관리 도입 노력 평가 신설(정성), 부채비율 등 경영효율성과 배점(최대 3점) 상향
지방공기업 투자활성화(’24.2월), 지방공공기관 혁신(’22.7월) 등 주요정책* 조기 이행·확산을 위한 평가 강화
예) 투자활성화 노력 평가 신설(정성), 혁신평가를 계획에서 성과(우수사례) 중심으로 전환
평가 항목
지방공기업 평가 항목 테이플표 입니다.평가항목(경영관리 /경영성과), 세부지표, 평정, 비중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
평가항목
세부지표(20개 내외)
평정
비중
대분류
중분류
'23년
'24년
경영관리
리더십
경영층의 리더십, 혁신 및 전략
정량/정성
63점
50점
경영시스템
조직·인사관리, 재무관리
사회적 책임
소통·참여, 윤리경영, 재난·안전관리, 지역상생발전
경영성과
주요사업
주요사업 활동 및 성과 ※ 유형별 맞춤형 지표
정량/정성
37점
50점
경영효율성과
경영효율성과 ※ 유형별 맞춤형 지표
고객만족성과
고객만족성과
권장정책성과
권장정책 목표달성도
평가 방법
(평가유형) 사업유형 등 특성을 고려, 8개 유형*으로 구분 평가(단, 상·하수도는 격년) ⋆ 도시철도공사, 도시개발공사, 특정공사공단, 관광공사, 시설관리공단, 환경시설공단, 하수도, 상수도
평가의 전문성·공정성 확보를 위해 교수·회계사, 연구원 등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「경영평가단」을 활용하여 실시 ※ 주민참여단 운영(시.도 추천 주민 약 200여 명) → 평가의 투명성 강화, 지역 주민 관심 제고 등